top of page

Da-eun Ha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I 챗봇 활용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및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챗봇이 한국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고등학생의 말하기 능력 및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B군에 위치한 D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4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 24명과 통제집단 20명으로 분류하였다. 2019년 4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13주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은 AI

챗봇을 사용한 모둠활동으로 수업이 이루어졌고 통제집단은 기존의

영어수업 방식 그대로 일반적인 모둠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을 고려하여 세 가지 과업 유형 ‘잡담 나누기(Exchanging small talk),’

‘정보 요청하기(Asking for information),’ ‘일상 대화하기(Having an everyday conversation)’를 선정했고, 각 유형의 특징에 맞게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먼저 실험 전후 참가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말하기 시험을 진행하였고, 챗봇을 이용한 영어 학습에 대해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 수준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그리고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점수 차이를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둘째, AI 챗봇 활용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에 대해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종속표본 t 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셋째, 각 집단이 실험처치

후에 말하기 능력 및 흥미와 동기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두고 말하기 능력 및 흥미와 학습 동기 각각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특히, 시기에 따른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 수준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추후점수 차이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요인에 대하여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그 차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모든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AI 챗봇을 경험한 학생들 중에서 4명을 선정하여 추가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다. 이는 결과의 논의를 보다 풍부하게 하고, 분석 결과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수업을 직접 진행한 교사도 심층 면담하여 AI 챗봇의 영어교육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두 차례의 면담은

연구자가 준비한 질문들에 따라 진행되었고, 시간의 제한을 두지 않고

추가적으로 관련된 정보를 더 얻어낼 수 있는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  면담  형식을 가졌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말하기 시험결과, 챗봇을 이용한 한국 EFL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흥미와 학습 동기 영역 검증 결과, 영어 말하기

뿐만 아니라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 및 동기 수준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영어 발화 기회가 적은 EFL 환경에서 AI 챗봇이 발화의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고, 이는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 뿐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 및 동기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AI 챗봇의 영어 학습 활용에 대한

가능성과 개선점이 논의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사회에 보다 구체적인 교수·학습 활용방안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챗봇은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하나의 학습 보조 수단이지 절대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는 챗봇의 특성을 알고 학습 목표 및 학습 내용에 맞는 적절한 학습 활동을 설계하고 개발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고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본 연구는 EFL 상황에서 AI

챗봇 기반 영어 학습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AI 챗봇 활용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고 있다.

Han Da-eun received her Ph.D. in English Education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 February, 2020. Dissertation: Effects of AI Chatbot on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bottom of page